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2년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금, 납입방법, 납입시기 총정리

by 피지컬링 2022. 1. 17.
반응형

청년 내일 채움 공제 적립

1. 청년

납입기간은 2년이며 매월 125,000원씩 2년간 납입하게 됩니다. 그래서 1200만 원 중에서 300만 원을 본인 부담금으로 채우게 되는 거죠 가입기간 동안에는 납입금을 줄이거나 늘릴 수 없고요. 납입시기는 매월 매월 5일, 15일, 25일 중에서 희망하는 날짜를 선택해서 본인계좌 자동이체로 납입하시면 됩니다. 

 

2. 기업

납입기간은 청년과 동일하게 2년간 납입하게 됩니다. 하지만 기업규모에 따라서 납입하는 금액은 각각 다릅니다.

 

30인 미만 기업

적립주기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기업지원(적립)금
(누적금액)
75만원
(75만원)
75만원
(150만원)
75만원
(225만원)
75만원
(300만원)

30인 미만 기업의 경우에는 정부가 지원하는 기업지원금으로 기업기여금을 100% 적립하게 됩니다. 즉 기업이 부담하는 금액은 없다는 셈이죠 결국 위에 나와있는 금액인 300만 원을 고용센터가 전부 부담한다고 보시면 돼요

 

30인~49인 기업

적립주기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기업지원(적립)금
(누적금액)
60만원
(60만원)
60만원
(120만원)
60만원
(180만원)
60만원
(240만원)

이 경우 기업은 매 달 내야 하는 기여금 12.5만원의 20%인 2.5만 원을 부담하게 되고 고용센터는 위 표와 같이 매달 기여금의 80%인 10만 원을 납입하게 됩니다. 

 

50인~199인 기업

적립주기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기업지원(적립)금
(누적금액)
37.5만원
(60만원)
37.5만원
(75만원)
37.5만원
(112.5만원)
37.5만원
(150만원)

이 경우 기업은 매 달 내야 하는 기여금 12.5만원의 50%인 7.5만 원을 부담하게 되고 고용센터도 위 표와 같이 매달 기여금의 50%인 7.5만 원을 납입하게 됩니다. 

 

200인 이상 기업은 기업기여금의 100%를 부담금으로 매 달 12.5만 원씩 2년간 300만 원을 전액 부담하게 됩니다.

 

3. 정부

정부도 마찬가지로 2년간 600만원을납입하게 되는데 고용센터에서 청년 명의 계좌로 지급을 하게 됩니다. 취업지원금 주기별 적립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적립주기 1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기업지원(적립)금
(누적금액)
80만원
(80만원)
120만원
(200만원)
120만원
(320만원)
140만원
(460만원)
140만원
(600만원)

 

반응형

댓글